[Kubernetes] minikube 대시보드 활성화 과정
blog post 이번 포스트는 이전 포스트에 이어서, 설치한 minikube를 기반으로 대시보드를 구축해 보겠습니다. 대시보드에서도 약간의 삽질 과정이 있어서 따로 다뤄보았습니다. 이전 포스트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트를 보고 오시기 바랍니다. [Kubernete...
blog post 이번 포스트는 이전 포스트에 이어서, 설치한 minikube를 기반으로 대시보드를 구축해 보겠습니다. 대시보드에서도 약간의 삽질 과정이 있어서 따로 다뤄보았습니다. 이전 포스트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트를 보고 오시기 바랍니다. [Kubernete...
blog post 오픈스택을 멀티 노드로 구성하는 과정에서 간단한 테스트 용 컨테이너가 필요하여 도커를 구축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단순히 도커만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쿠버네티스도 사용해 볼 겸, 도커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쿠버네티스 시스템을 구축해 보기로 했습니다. 마침...
blog post 오픈스택에서 네트워킹 기능을 전담하는 컴포넌트로 Neutron이 있습니다. Public & Private 네트워크 구성부터 서브네팅, 라우터, DHCP, 패킷 포워딩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죠. 하지만 Neutron의 기능은 이게 끝이 아닙니다. 기...
blog post 오픈스택 클라우드에 기능을 추가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문뜩 대시보드 메인 로고를 바꿔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비록 웹 서버 개발자는 아니지만, 로고를 어떻게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을지 궁금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잠시 대시보드를 커스터...
blog post 처음 오픈스택 서비스를 구성하면 대시보드가 기본 HTTP (80포트)로 서비스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HTTP는 통신 과정에서 세션 암호화를 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가지 보안 취약점에 노출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에 따라, SSL 암호화...
blog post 오픈스택의 Swift를 활용하면 다양한 방식으로 오브젝트 스토리지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기존 Cinder서비스와 연동하여 블록 스토리지의 백업 서버로 활용할 수도 있고, Glance 이미지 저장 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blog post 앞서 포스트를 통해 가상 머신을 생성하고 테넌트 네트워크까지 완료하였습니다. (해당 포스트: Stein 오픈스택 클라우드 분석(3) - 외부&내부 네트워크, 서브넷, 라우터 생성) 하지만 생성한 VM에 오픈스택 대시보드 VNC 콘솔을 통해 접속해보면 ...
blog post 이번 포스트에서는 잠시 기술적인 내용이 아닌, 클라우드 산업과 오픈스택에 대한 본질적인 내용에 관하여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글의 마지막에서는 오픈스택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을 위한 짧은 조언과 함께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클라우드 배경 최...
blog post 이번 포스트에서는 지난 포스트에서 구축했던 LVM 기반 블록 스토리지 노드에 NFS 백엔드를 추가하여 멀티 블록 스토리지 노드를 구성해 보겠습니다. 포스트 마지막에는 Cinder와 GlusterFS 문제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짚고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
blog post 이번 포스트에서는 앞서 구축한 블록 스토리지의 백엔드로 LVM 드라이브를 지정하고, 실제 볼륨을 생성하는 과정까지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체 구성 본 포스트를 통해 아래와 같이 기존 Block Storage가 LVM을 기반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됩니...
blog post 이번 포스트에서는 앞서 1차 구축을 완료한 컨트롤러/네트워크/컴퓨트 노드에 이어, 블록 스토리지 노드를 추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록 스토리지는 가상머신으로 동작 중인 윈도우, 리눅스 시스템 등의 인스턴스에 볼륨을 추가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주로 활...
blog post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전 포스트까지 생성하고 분석했던 인스턴스가 어떻게 맥 주소나 ip를 할당받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지난번 가상머신 분석 포스트에서 가상머신 "Windows10_2"를 추가로 만들었습니다. 저는 이 인스턴스를 기준으로 분석...
blog post 이번 포스트에서는 오픈스택 시스템 내부에서 이미지와 가상머신을 어디에 생성하고 어떻게 관리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사실 이번 포스트에서 네트워킹까지 함께 다루려 했으나, 네트워크 부분은 얘기가 길어질 것 같아서 별도로 포스팅 하겠습니다. 1. 가상머신 ...
blog post 이번 포스트에서는 가상머신 이미지 디스크를 업로드하고 그 이미지를 가지고 인스턴스(VM)를 생성하는 단계까지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이번 과정도 전부 CLI로 가능하지만 저는 이전에 구축한 오픈스택 대시보드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이번...
blog post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CentOS7 기준)에서 QCOW2 기반의 가상머신 이미지를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GUI를 사용하지 않고 CLI를 기반으로 KVM 가상머신을 생성해 보겠습니다. 1. 기본 패키지 설치 우선 이미지 생성에 앞서 필요한...
blog post 지난 포스팅에서 내외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라우터까지 배치해 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로 호스트 시스템에서는 어떤식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구축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직 가상 네트워크 구축 포스트를 보지 못하신 분들은 먼저 해당 글...
blog post 이전 포스트에서 오픈스택의 초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아키텍처를 살펴보았다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상의 네트워크와 서브넷, 라우터 등을 생성해 보겠습니다. 1. 네트워크 구축 시나리오 아직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았지만, 추후에 인스턴스가 인터넷 접속이 ...
blog post 앞서 포스트에서는 간단하게 사용자와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분석해 보았습니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및 VM 생성단계로 넘어가기에 앞서, 오픈스택 시스템의 기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조를 우선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Neutron 네트워크 서비스 포스팅을 통...
blog post 이번 포스트부터 기존에 구축한 오픈스택 서비스를 활용하고 분석하는 과정에 집중하고자 합니다. 그 첫번째 포스팅으로 이번 포스트에서는 대시보드 기본 구성에 대해 알아보고 간단하게 사용자, 프로젝트 등을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또 실제로 오픈스택 호스...
blog post 기본적인 오픈스택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마지막 단계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시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Horizon 서비스를 구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Horizon은 httpd 기반으로 동작하며, 컨트롤러 노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아래 과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