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Linux Operation' 카테고리의 글 목록

CentOS7에서 GlusterFS 클러스터 노드 추가하기

blog post GlusterFS(이하 GFS)는 브릭(Brick)이라 불리는 GFS 전용 디스크 파일시스템을 추가하여 볼륨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브릭은 단일 GFS 노드에서 추가할 수도 있고, 다중 노드에서 브릭을 클러스터링 하여 확장할 수도 있습니다...

CentOS7에서 GlusterFS(GFS)를 활용하여 파일 시스템 마운트 하기

blog post GlusterFS (이하 GFS)는 네트워크 기반 파일 시스템으로, gfs 서버-클라이언트간 스토리지 마운트를 통한 파일 공유는 물론, 클러스터링 및 이중화 구성까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스토리지 도구입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을 지원하는 이유로...

CentOS7에서 NTP 서버 구축으로 시간 동기화 하기

blog post NTP (Network Time Protocol)는 pc와 pc 간 (혹은 서버-클라이언트 간) 시간을 동기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시간 동기화를 하는 방법에는 클라이언트 pc가 직접 외부 시간에 클라이언트가 동기화할 수도 있고, 직접 N...

9
4월

[Linux] CentOS8에서 웹 서버를 활용한 개인 Yum Repository 서버 구축하기

blog post 이번 포스트에서는 CentOS8 에서 Yum 레포지토리를 구축하고 아파치 웹 서버를 통해 다른 장치에서도 해당 레포지토리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해 보겠습니다. 1. 패키지 설치 우선 서버 구축에 필요한 도구들을 설치합니다. [root@server ~...

[RHCSA 준비] SELinux 개념과 유용한 명령어

blog post 이번 포스트에서는 리눅스 시스템 정책 메커니즘인 SELinux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ELinux는 시스템을 사용하는 프로세스, 사용자 등 모든 사용 개체들에 보안 레벨을 적용하고 그 레벨에 따라 동작하는 리눅스 커널 기반 메커니즘입니다. s...

2
2월

[RHCSA 준비] FreeIPA 서버 구축하기

blog post FreeIPA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Identity, Policy, Audit 등을 유닉스/리눅스 네트워크로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RHCSA 테스트를 위해 FreeIPA 서버를 구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RHCSA 준비] 아파치 서버 구성하기

blog post * 참고- 아파치 서버 구성 자체가 rhcsa 시험 출제 항목은 아닙니다.- 설정 과정에서 원활한 구성을 위해 잠시 SElinux를 꺼두지만, 실제로 구성하는 과정에서는 끄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주요 구성 파일 설명/etc/httpd/conf/htt...

[RHCSA 준비] 킥스타트 서버 구성하기

blog post 킥스타트는 설치OS가 준비된 킥스타트 서버를 통해 OS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서버에 자동으로 OS를 설치하도록 구성된 OS 자동 설치 시스템 정도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간단하게 킥스타트 서버를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