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Building up Openstack' 카테고리의 글 목록

Stein 오픈스택 클라우드 서버 구축(16) - Neutron 기반 Service Function Chaining (SFC) 기능 추가하기

blog post 오픈스택에서 네트워킹 기능을 전담하는 컴포넌트로 Neutron이 있습니다. Public & Private 네트워크 구성부터 서브네팅, 라우터, DHCP, 패킷 포워딩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죠. 하지만 Neutron의 기능은 이게 끝이 아닙니다. 기...

1
5월

Stein 오픈스택 클라우드 서버 구축(15) - 오픈스택 대시보드 메인 로고 및 링크 변경하기

blog post 오픈스택 클라우드에 기능을 추가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문뜩 대시보드 메인 로고를 바꿔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비록 웹 서버 개발자는 아니지만, 로고를 어떻게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을지 궁금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잠시 대시보드를 커스터...

1
5월

Stein 오픈스택 클라우드 서버 구축(14) - SSL (HTTPS) 접속 가능한 오픈스택 대시보드 구성하기

blog post 처음 오픈스택 서비스를 구성하면 대시보드가 기본 HTTP (80포트)로 서비스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HTTP는 통신 과정에서 세션 암호화를 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가지 보안 취약점에 노출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에 따라, SSL 암호화...

9
5월

Stein 오픈스택 클라우드 서버 구축(13) - Swift 서비스를 활용한 오브젝트 스토리지 구성하기

blog post 오픈스택의 Swift를 활용하면 다양한 방식으로 오브젝트 스토리지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기존 Cinder서비스와 연동하여 블록 스토리지의 백업 서버로 활용할 수도 있고, Glance 이미지 저장 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1
4월

Stein 오픈스택 클라우드 서버 구축(12) - NFS,LVM 기반 다중 블록 스토리지 노드 구성하기 (Feat. GlusterFS, GFS)

blog post 이번 포스트에서는 지난 포스트에서 구축했던 LVM 기반 블록 스토리지 노드에 NFS 백엔드를 추가하여 멀티 블록 스토리지 노드를 구성해 보겠습니다. 포스트 마지막에는 Cinder와 GlusterFS 문제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짚고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

1
4월

Stein 오픈스택 클라우드 서버 구축(11) - LVM으로 블록 스토리지 백엔드 구성하기

blog post 이번 포스트에서는 앞서 구축한 블록 스토리지의 백엔드로 LVM 드라이브를 지정하고, 실제 볼륨을 생성하는 과정까지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체 구성 본 포스트를 통해 아래와 같이 기존 Block Storage가 LVM을 기반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됩니...

1
4월

Stein 오픈스택 클라우드 서버 구축(10) - 블록 스토리지 노드 및 Cinder 서비스 구성

blog post 이번 포스트에서는 앞서 1차 구축을 완료한 컨트롤러/네트워크/컴퓨트 노드에 이어, 블록 스토리지 노드를 추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록 스토리지는 가상머신으로 동작 중인 윈도우, 리눅스 시스템 등의 인스턴스에 볼륨을 추가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주로 활...

1
2월

Stein 오픈스택 클라우드 서버 구축(9) - 대시보드 서비스(Horizon) 구축 및 대시보드 기본 구조

blog post 기본적인 오픈스택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마지막 단계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시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Horizon 서비스를 구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Horizon은 httpd 기반으로 동작하며, 컨트롤러 노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아래 과정은...

1
2월

Stein 오픈스택 클라우드 서버 구축(8) - 테넌트 네트워크 환경 구축

blog post 본 포스팅에서는 테넌트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한 설정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네트워크 서비스 포스트에서 구성을 마무리하며 말씀드린 것과 같이 실제 VM이 사용하기 위한 가상의 테넌트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추가 설정이 필요합니다. 가상 네...

9
2월

Stein 오픈스택 클라우드 서버 구축(7) - 네트워크 서비스 (Neutron) 설치 및 구성

blog post 이번 포스팅에서는 VM의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Neutron 서비스를 구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이번 과정에서는 앞서 구성 개요 포스트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VM의 네트워크 트래픽 처리를 전담하는 별도의 노드(이하 네트워크 노드)를 구성할 ...

3
1월

Stein 오픈스택 클라우드 서버 구축(6) - 컴퓨트 서비스 (Nova) 설치 및 구성

blog post 이번 포스트에서는 오픈스택의 핵심 기능이라고 볼 수 있는 Nova 컴퓨트 서비스를 구축하는 과정에 관하여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Nova 서비스에 대한 기본 내용은 해당 포스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바로가기] 1. 전체 구성 이번 포스트에서 구축할 ...

3
1월

Stein 오픈스택 클라우드 서버 구축(5) - 이미지 서비스 (Glance) 설치 및 구성

blog post 이번 포스트에서는 인증 서비스(Keystone)에 이어 이미지 관리 서비스(Glance)를 구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과정은 모두 컨트롤러 노드에서 진행되며, Glance 관련 기본 내용은 해당 포스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바로가기] 1. 전체...

2
1월

Stein 오픈스택 클라우드 서버 구축(4) - 인증 서비스 (Keystone) 설치 및 구성

blog post 이번 포스트에서는 Keystone 인증 서비스를 구축해 보겠습니다. 이번 작업 역시 컨트롤러 노드에서 진행되며, Keystone에 대한 개념은 앞서 포스팅했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바로가기] 1. 전체 구성 컨트롤러 노드에 구성될 서비스는 다음과...

2
1월

Stein 오픈스택 클라우드 서버 구축(3) - 오픈스택 기본 패키지 설치 (update 2020.01.28)

blog post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픈스택 관련 기본 패키지를 세팅하는 과정에 관하여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본 과정은 컨트롤러 노드에서 진행합니다. 패키지 구성 컨트롤러 노드에 구성될 패키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MariaDB: 오픈스택 서비스 및 VM 관련 설정들...

2
1월

Stein 오픈스택 클라우드 서버 구축(2) - 시스템 구성 (update 2020.01.28)

b l o g p o s t 앞서 멀티노드 구성 개요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3개의 노드(컨트롤러, 컴퓨트, 네트워크)를 구성하기위해 본 포스팅에서는 각 노드별로 오픈스택 서버를 구축하기 위한 시스템 초기화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노드별로 구성될 호스트는 총 3대(컨트롤러...

2
1월

Stein 오픈스택 클라우드 서버 구축(1) - 개요 (update 2020.01.23)

b l o g p o s t 지난번 개인 오픈스택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도중 개인 사정으로 잠시 중단했는데 다시 시작합니다. 본 포스팅은 기존 Ocata 버전으로 구축을 진행하고자 하였으나, 어느새 오래된 버전이 되었네요. 현재 Train 버전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