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에서 rpm 패키지 다운로드 하기
blog post 보통 CentOS와 같은 RHEL 계열 리눅스에서 패키지 설치시, 대부분 Yum 레포지토리를 통해 설치하곤 합니다. 그런데 간혹 개인 yum 레포지토리를 직접 구축하거나 다른 이유로 인해 RPM 패키지를 단순히 내려받기만 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blog post 보통 CentOS와 같은 RHEL 계열 리눅스에서 패키지 설치시, 대부분 Yum 레포지토리를 통해 설치하곤 합니다. 그런데 간혹 개인 yum 레포지토리를 직접 구축하거나 다른 이유로 인해 RPM 패키지를 단순히 내려받기만 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blog post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전 포스트까지 생성하고 분석했던 인스턴스가 어떻게 맥 주소나 ip를 할당받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지난번 가상머신 분석 포스트에서 가상머신 "Windows10_2"를 추가로 만들었습니다. 저는 이 인스턴스를 기준으로 분석...
blog post iptime의 포트포워딩 기능을 활용하면 PC에서 동작하는 특정 서비스를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 가정집에서 사용하는 PC는 내부 네트워크의 IP(주로 192.168.0.0/16)를 사용하고, 외부로 통신할 때만 NAT되어 나가...
blog post 이번 포스트에서는 오픈스택 시스템 내부에서 이미지와 가상머신을 어디에 생성하고 어떻게 관리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사실 이번 포스트에서 네트워킹까지 함께 다루려 했으나, 네트워크 부분은 얘기가 길어질 것 같아서 별도로 포스팅 하겠습니다. 1. 가상머신 ...
blog post 이번 포스트에서는 가상머신 이미지 디스크를 업로드하고 그 이미지를 가지고 인스턴스(VM)를 생성하는 단계까지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이번 과정도 전부 CLI로 가능하지만 저는 이전에 구축한 오픈스택 대시보드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이번...
blog post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CentOS7 기준)에서 QCOW2 기반의 가상머신 이미지를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GUI를 사용하지 않고 CLI를 기반으로 KVM 가상머신을 생성해 보겠습니다. 1. 기본 패키지 설치 우선 이미지 생성에 앞서 필요한...
blog post 지난 포스팅에서 내외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라우터까지 배치해 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로 호스트 시스템에서는 어떤식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구축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직 가상 네트워크 구축 포스트를 보지 못하신 분들은 먼저 해당 글...
blog post 이전 포스트에서 오픈스택의 초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아키텍처를 살펴보았다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상의 네트워크와 서브넷, 라우터 등을 생성해 보겠습니다. 1. 네트워크 구축 시나리오 아직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았지만, 추후에 인스턴스가 인터넷 접속이 ...
blog post 앞서 포스트에서는 간단하게 사용자와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분석해 보았습니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및 VM 생성단계로 넘어가기에 앞서, 오픈스택 시스템의 기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조를 우선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Neutron 네트워크 서비스 포스팅을 통...
blog post 이번 포스트부터 기존에 구축한 오픈스택 서비스를 활용하고 분석하는 과정에 집중하고자 합니다. 그 첫번째 포스팅으로 이번 포스트에서는 대시보드 기본 구성에 대해 알아보고 간단하게 사용자, 프로젝트 등을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또 실제로 오픈스택 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