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8 설치 후 기본적으로 확인해야 할 체크 항목
blog post
본 포스트에서는 이전 포스트에서 다뤘던 CentOS8 설치 및 부팅 후 체크해야 할 항목에 대해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CentOS 이미지가 알아서 잘 설치해 줬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확인해 볼 필요가 있는 것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참고로 본 포스트에는 다소 주관적인 생각도 담겨 있습니다. 제가 생각했을 때 '이러이러한 항목들은 리눅스 시스템 사용에 앞서 기본적으로 확인해 볼 필요가 있겠다' 라고 생각하고 작성하는 것이니, 보시는 과정에서 이러한 부분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가장 먼저 확인해 볼 부분은 디스크 파티션 내역입니다. 만약 설치 과정에서 "Automatic" 방식으로 파티셔닝 했다면 자세하게 확인하거나 수정해야 하는 부분은 없습니다.
아래와 같이 리눅스 오토파티셔닝으로 20GB 디스크 기준으로, 약 1GB는 /boot 디렉토리에, 2GB는 스왑 메모리, 그리고 나머지는 전부 루트 파티션(/)에 할당됩니다. 또한 기본 루트 파티션의 경우 파일시스템은 xfs로, boot 디렉토리는 ext4로 잡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localhost ~]# df -Th
Filesystem Type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tmpfs devtmpfs 382M 0 382M 0% /dev
tmpfs tmpfs 399M 0 399M 0% /dev/shm
tmpfs tmpfs 399M 5.8M 393M 2% /run
tmpfs tmpfs 399M 0 399M 0% /sys/fs/cgroup
/dev/mapper/cl-root xfs 17G 1.9G 16G 11% /
/dev/sda1 ext4 976M 139M 771M 16% /boot
tmpfs tmpfs 80M 0 80M 0% /run/user/0
[root@localhost ~]# free -m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797 234 305 5 256 430
Swap: 2047 0 2047
물론 직접 파티셔닝을 진행하셨다면, 본인이 설정한 대로 구성되었는지 확인해 보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리눅스 자동 파티셔닝 기능은 기본적으로 LVM 논리 파티션을 활용합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vg, lvdisplay를 통해 논리 볼륨으로 파티셔닝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localhost ~]# vgdisplay
--- Volume group ---
VG Name cl
System ID
Format lvm2
Metadata Areas 1
Metadata Sequence No 3
VG Access read/write
VG Status resizable
MAX LV 0
Cur LV 2
Open LV 2
Max PV 0
Cur PV 1
Act PV 1
VG Size <19.00 GiB
PE Size 4.00 MiB
Total PE 4863
Alloc PE / Size 4863 / <19.00 GiB
Free PE / Size 0 / 0
VG UUID 5bpFoN-plse-cfQX-yyet-Gq8f-Zo4o-LYAXPB
[root@localhost ~]# lvdisplay
--- Logical volume ---
// 스왑 파티션
LV Path /dev/cl/swap
LV Name swap
VG Name cl
LV UUID EcOXi6-arCp-YHPX-aAy7-1w1d-Auw3-fQdV4Z
LV Write Access read/write
LV Creation host, time localhost.localdomain, 2020-04-07 02:20:41 +0900
LV Status available
# open 2
LV Size 2.00 GiB
Current LE 512
Segments 1
Allocation inherit
Read ahead sectors auto
- currently set to 8192
Block device 253:1
--- Logical volume ---
// 루트 디렉토리 파티션
LV Path /dev/cl/root
LV Name root
VG Name cl
LV UUID EYytzf-7Y1O-SkBx-tRVO-8z9I-mKdT-OcYkid
LV Write Access read/write
LV Creation host, time localhost.localdomain, 2020-04-07 02:20:41 +0900
LV Status available
# open 1
LV Size <17.00 GiB
Current LE 4351
Segments 1
Allocation inherit
Read ahead sectors auto
- currently set to 8192
Block device 253:0
메모리 상태도 확인해 봅니다. VM에서 할당된 메모리가 적절하게 잘 올라왔는지, 그리고 디스크 파티셔닝 단계에서 할당된 swap 메모리가 잘 잡혔는지 정도만 확인해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
[root@localhost ~]# free -m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797 253 121 9 422 388
Swap: 2047 13 2034
다음으로 네트워크의 경우, 인터페이스가 적절하게 "up" 되었는지, ip, router, dns 정보가 적절하게 적용되었는지,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지 정도 확인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간단하게 ifconfig , ip route 명령으로 네트워크가 올라왔는지 확인해 볼 수 있으며, 인터넷으로 ping도 보내봅니다.
[root@localhost ~]# ifconfig
ens33: flags=4163<UP,BROADCAST,RUNNING,MULTICAST> mtu 1500
inet 192.168.0.19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192.168.0.255
ether xx:xx:xx:xx:xx:xx txqueuelen 1000 (Ethernet)
RX packets 3770 bytes 255558 (249.5 Ki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548 bytes 135250 (132.0 Ki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lo: flags=73<UP,LOOPBACK,RUNNING> mtu 65536
inet 127.0.0.1 netmask 255.0.0.0
inet6 ::1 prefixlen 128 scopeid 0x10<host>
loop txqueuelen 1000 (Local Loopback)
RX packets 22 bytes 2068 (2.0 Ki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22 bytes 2068 (2.0 Ki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root@localhost ~]# ip route
default via 192.168.0.1 dev ens33
default via 192.168.0.1 dev ens33 proto dhcp metric 100
192.168.0.0/24 dev ens33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0.105
192.168.0.0/24 dev ens33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0.19 metric 100
192.168.0.0/24 dev ens33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0.105 metric 100
[root@localhost ~]# ping 8.8.8.8
PING 8.8.8.8 (8.8.8.8) 56(84) bytes of data.
64 bytes from 8.8.8.8: icmp_seq=1 ttl=54 time=43.9 ms
64 bytes from 8.8.8.8: icmp_seq=2 ttl=54 time=37.7 m
위와 달리, 외부 네트워크 (혹은 인터넷)와 통신이 안되는 경우, 아래 항목들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잘못된 VMWare Fusion의 Network Adapter 설정으로 인한 통신 불가 -> VMWare 상단 메뉴 "Vitual Machine" -> "Network Adapter" -> "Network Adapter Settings"에서 설정 변경
- VM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잘못된 ip 혹은 netmask, network, route 등 통신 관련 잘못된 설정 -> ifconfig, ip addr, ip route 등의 명령을 활용하여 체크하고 수정
- 특정 기관 네트워크의 경우, 망 분리로 인해 원천적으로 외부 접근이 차단된 경우
리눅스 첫 설치 후에는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 상태가 우리가 설치 과정에서 사용했던 CentOS8 이미지 파일에 저장된 패키지의 상태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일부 패키지의 경우 최신 버전이 아닐 수 있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 패키지들은 릴리즈 후 시간이 좀 지났다고 해서 크게 문제 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리눅스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를 최신으로 유지하고 싶다면 yum update를 진행해도 좋습니다.
[root@localhost ~]# yum -y update
만약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특히 dns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기본적으로 yum 레포지토리는 초기에 centos 파운데이션에서 제공하는 기본 레포지토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웬만하면 여기에 접근이 안되는 경우는 네트워크 DNS 문제 아니면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망분리 등으로 인한 문제는 논외 입니다.)
이 정도 확인만 되어도 이후 리눅스 사용에 큰 문제는 없습니다. 이후에는 본인이 추가로 필요한 패키지(vim, tmux, htop 등)를 설치하거나, 상위 버전의 커널 설치, 각종 서비스 설치 등, 본인의 필요에 따라 설치하고 구성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Linux > Linux Found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Storage] CentOS8 리눅스 시스템 설치 과정에서 직접 디스크 파티셔닝 하기 (Feat. LVM Thin Provisioning) (0) | 2020.04.08 |
---|---|
[Linux Storage] 리눅스 시스템 디스크 파티션 및 관련 개념 정리 (0) | 2020.04.07 |
Mac VMWare Fusion에서 CentOS 8 리눅스 새로 설치하기 (0) | 2020.04.03 |
CentOS에서 rpm 패키지 다운로드 하기 (0) | 2020.03.31 |
[RHCSA준비] 리눅스 기초 명령어 정리 (0) | 2017.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