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Linux Operation
[RHCSA 준비] FreeIPA 서버 구축하기
사막의 여우
2017. 2. 26. 19:45
blog post
FreeIPA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Identity, Policy, Audit 등을 유닉스/리눅스 네트워크로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RHCSA 테스트를 위해 FreeIPA 서버를 구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 참고
- FreeIPA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 자체가 RHCSA의 시험내용은 아닙니다.
- 기존에 구성했던 server1과는 별도의 서버입니다. 본 포스팅을 위한 테스트는 KVM 가상머신에서 구축됩니다.
FreeIPA 서버 설치 및 구성
1. 호스트 설정
# vim /etc/hosts
192.168.0.3 ipa.example.com ipa |
2. freeipa 서버를 구성하기 위한 패키지 설치
# yum -y install ipa-server ipa-server-dns bind bind-dyndb-ldap
3.
4.
5.
6.
7.
8.
위와 같이 출력 되면 ok. (에러가 발생하면 설정 다시해서 다시 설치해야 합니다)
vsftpd 설치
1. vsftpd 패키지 설치
# yum install -y vsftpd
2. vsftpd 시작 및 자동시작 등록
# systemctl enable vsftpd
# systemctl start vsftpd
3.
4.
5.
6.
7. 이후에 server1 서버쪽에서 ipa 서버의 / 패스를 마운트 해주기 위해 ipa 서버에서 exports 파일을 설정해줘야 합니다.
# vim /etc/exports
/ 172.30.6.180/24(rw,sync,no_root_squash) |
8.
# exportfs -a
9. nfs 재시작
# systemctl restart nfs
10. server1에서 ipa 서버의 / 패스를 마운트합니다.